Front-End/CSS

07-1 글꼴 관련 스타일

hoya7788 2023. 4. 14. 15:40

텍스트 스타일은 사용하는 글자의 모양새를 지정하는 글꼴 스타일과 웹 문서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지정하는 문단 스타일이 있음. 스타일의 종류를 굳이 나눌 필요는 없지만 font로 시작하는 속성은 글꼴과 관련 있다고 생각하면 됨.

 

>>> 글꼴을 지정하는 font-family 속성

웹 문서에 사용할 글꼴은 font-family 속성으로 지정함. 이 속성은 <body> 태그를 비롯해 <p>태그나 <hn> 태그처럼

텍스트를 사용하는 요소에서 주로 사용함

[기본형] font-family:<글꼴 이름> | [ <글꼴 이름>, <글꼴 이름> ]

 

!!!알아두면 좋아요!!! 

기본형 기호 이해하기

[기본형] 표기 방식은 W3C 표준 규약에서도 사용하므로 잘 알아 두면 나중에 표준 규약을 읽기도 쉬움

① |는 나열한 옵션 중 하나가 값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임

font-size:  값1 | 값2 | 값3

 

②속성값을 나열할 때 키워드는 그대로 나열함

font-variant: normal | small-caps

 

③속성값을 나열할 때 값이 아니라 유형이라면 < >로 묶음. 이때 다른 속성을 유형처럼 사용가능

font-size: <절대 크기> | <상대 크기> | <크기> | <백분율>

 

>>> 글자 크기를 지정하는 font-size 속성

[기본형] font-size: <절대 크기> | <상대 크기> | <크기> | <백분율>

 

>>> 이탤릭체로 글자를 표시하는  font-style 속성

[기본형]  font-style: 1.normal | 2.italic | 3.oblique

1.  기본값으로 일반적인 형태로 표시

2. 이탤릭체로 표시

3. 이탤릭체로 표시

 

글자 굵기를 지정하는 font-weight 속성

[기본형] font-weight : normal | bold | bolder | lighter | 100 | 200 | ... | 800 | 900

1. 기본값, 보통 굵기

2. 굵게

3. 원래보다 더 굵게

4. 원래보다 더 가늘게

5. 100~900 사이의 굵기를 표현하며 100은 가장 가늘게, 900은 가장 굵게